비밀번호

광산동 광곡마을 행주기씨 세거지 - 빛고을신문

  • 구름많음속초26.1흐림북춘천27.1구름많음철원26.4구름많음동두천25.6구름많음파주24.2흐림대관령24.2흐림춘천28.1비백령도20.5구름많음북강릉29.1구름많음강릉31.6구름조금동해24.9구름많음서울30.1흐림인천26.6구름많음원주29.1맑음울릉도23.6흐림수원29.0구름많음영월23.9구름많음충주27.3구름많음서산26.2구름조금울진24.2구름많음청주29.6흐림대전28.5구름많음추풍령24.1구름많음안동26.3구름조금상주26.1맑음포항29.8구름많음군산27.3맑음대구27.7구름조금전주27.2맑음울산27.6구름조금창원25.0구름많음광주25.8맑음부산23.5구름많음통영22.5구름많음목포25.4박무여수22.8안개흑산도20.3구름많음완도23.5흐림고창26.4구름많음순천23.5흐림홍성27.8구름많음서청주25.9구름많음제주27.0구름많음고산23.7흐림성산24.1흐림서귀포25.2구름많음진주24.5흐림강화25.3구름많음양평26.8구름많음이천27.4구름많음인제24.8구름많음홍천26.9구름많음태백22.5흐림정선군24.4구름많음제천23.9구름많음보은23.8구름많음천안26.0구름많음보령28.4구름많음부여27.2구름많음금산27.4구름많음세종26.0구름많음부안27.5구름많음임실24.9구름많음정읍27.3구름많음남원26.8구름많음장수24.4흐림고창군26.7흐림영광군26.8구름많음김해시25.8구름많음순창군25.8구름많음북창원26.4구름조금양산시26.5구름많음보성군23.9흐림강진군24.0구름많음장흥23.5흐림해남23.5구름많음고흥22.9구름많음의령군25.3구름많음함양군24.3구름많음광양시24.8흐림진도군24.1구름조금봉화22.0구름많음영주24.6구름조금문경23.9구름조금청송군24.2맑음영덕24.5구름조금의성26.1구름많음구미27.9구름조금영천27.8구름많음경주시27.9구름많음거창24.2구름많음합천26.2구름많음밀양27.4구름많음산청25.4구름많음거제24.3구름많음남해24.8구름조금북부산25.1
  • 2025.06.19(목)

이야기와 사진살아가는 이야기와 사진

광산동 광곡마을 행주기씨 세거지

Image (1).jpg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에 있는 행주 기씨 세거지. 

 

행주는 본디 경기도 양주에 속하였던 고려 때 고을이름이다. 

조선 초엽 고봉과 덕양을 합하여 고양이라 하였다. 그래서 광주광역시에 살면서 이름을 떨친 기대승(奇大升)[1527~1572]의 호가 고봉이다. 행주기씨들은 기자(箕子)의 48세손이 기순우(奇純祐)라는 주장이 있지만, 현존 기씨들은 기순우를 중조 기1세조로 하여 세계하고 있다. 기대승의 아버지 기진(奇進)은 기찬(奇禶)의 넷째아들이고, 다섯째아들이 기준(奇遵)[1492~1521]으로 응교로 있을 때 기묘사화를 입어 은성에 유배될 때 형제들이 모두 시골로 피신하였다. 

 

기진의 형 기원(奇遠)은 장성으로 피신하였으나 기대승의 아버지는 어머니상을 당하여 3년상을 치르고 1530년 현재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룡동 신촌마을로 옮겨왔다. 기진의 처가가 진주강씨(晉州姜氏)로 이웃 영광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흔히 기대승을 광주 태생으로 말하지만 본디 고양에서 태어나 네 살 때 아버지를 따라 광주로 이사왔기 때문에 호를 태어난 고향 땅이름인 고봉이라 한 것이다. 기대승은 신촌에서 도동을 거쳐 너무실[廣谷]로 세 번 옮겼고, 31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 등을 지내고, 36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다. 그러나 기대승은 생전에 이성계의 역성혁명을 정당화한 「종계변무주문(宗系辨誣奏文)」을 지어 중국의 기록을 바로잡은 공으로 사후 ♪♬♩ 만인 1590년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 녹훈과 함께 기대승이 살았던 동네 뒷산 백우산(白牛山)[293m] 일대 88정보[약 87만 2727㎡]를 사패지로 받아 후손들이 광곡을 중심으로 세거지를 삼았다 

 

행주기씨 일가가 처음 찾아든 곳은 본디 광주목 소고룡의 새터[신천]이었으나, 곧 두동으로 옮겨 살았다. 두동도 광주 지역으로, 장성군 남면 통정리와 경계 동네였다. 이 동네에서 4㎞쯤 북쪽으로 가면 황룡강 기슭에 광곡동네가 있다. 이 동네가 고봉 일가가 살던 오늘날의 광산동으로 본디 나주목 오산면에 속하였던 곳이다. 이 오산면이 1906년 함평군으로 이속되었다가 1914년 다시 나주군으로 돌려지면서 광곡만 떼어내어 광주군 임곡면에 소속시켰다. 이때부터 행주기씨가 살던 광곡이 광주에 속하게 된다.

 

동네 앞으로 호남선 철도와 국도 제53호선이 지나간다. 4㎞쯤 남쪽에 임곡역이 있고, 일제강점기에는 1920년 용진산금광이 개발되어 번성하였다. 입촌조 기진의 묘는 신룡동 두동에 있으며, 재각 오남재(吳南齋)가 있다. 기대승과 아들 기효증의 묘는 광산동 광곡에 있다. 오늘날 광곡에 있는 월봉서원은 고봉을 모시고 강학하기 위하여 1578년 지금의 신창동 월봉산 기슭에 초설하고, 1655년 사액을 받았으나 화재로 불타 1665년 신촌으로 이건하였다. 한말 서원철폐령 때 헐린 것을 1930년 광곡에 빙월당을 먼저 짓고, 1991년 빙월당 곁에 세 번째로 월봉서원[광주광역시 기념물]을 중건하였다. 광곡에는 기씨들 묘제를 지내는 귀후재, 두남재 등도 있으며, 기효정이 지었다는 칠송정(七松亭)도 복원되어 있다. 후손으로 대법원장을 지낸 기세훈이 세운 고봉학술원의 애일당(愛日堂)도 있다.

 

광곡동네 45집 가운데 37집이 행주기씨들이다. 광주광역시 내에 3,740명이 살고 있다. 서창동에 있던 문중 땅이 택지개발로 수용되면서 20여 억 원의 보상금을 받아 쌍촌동에 5층 회관을 마련하여 행주기씨 문헌공파 종중문회가 운영하고 있다. 월봉서원의 빙월당에서는 인문학 강의 등 행사가 잦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집:빛고을신문

검색결과는 총 22건 입니다.
1 2